□ 국토교통부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(’20.12.4)를 거쳐 남양주왕숙(6만 6천호)과 고양창릉(3만 8천호)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하였다.
ㅇ 광역교통개선대책은 신도시 조성 및 신규 교통대책 추진에 따른 교통량 변화 등에 대한 교통전문기관 용역, 한국교통연구원(KOTI) 검증, 지방자치단체 협의, 대광위 심의 등을 거쳐 확정되었다.
□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은 서울도심까지 30분대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지하철 등 대중교통 투자를 확대하고, 사업추진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사업계획을 함께 수립하여 광역교통시설의 적기 준공을 도모하였다.
ㅇ 5월에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한 하남교산·과천은 도로사업 실시설계 착수 등 후속절차를 정상 진행 중으로 `21년부터 사업별 인허가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며,
ㅇ 인천계양·부천대장 광역교통개선대책은 통합대책을 수립하여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(12.30)를 완료할 계획이다.


□ 남양주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대중교통 핵심사업은 남양주에서 서울 등 주요 도시권을 연결하는 서울 강동~하남~남양주 간 도시철도㉱로 2028년까지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.
ㅇ 사업지구 내부로는 입주민의 철도이용 편의를 위해 경춘선 역사(GTX-B 정차)㉯ 및 경의중앙선 역사㉰를 신설하며,
ㅇ 지역 전체로는, 별내선과 진접선을 잇는 별내선 연장 사업㉮에 비용을 분담하고, 상봉~마석 간 셔틀열차㉲를 운행해 주변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.
ㅇ 또한,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남양주~서울 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강변북로 대중교통개선 사업㉳*을 반영하였다.
* Moveable barrier 방식의 역류가변 중앙분리대를 활용한 BTX(Bus Transit eXpress)를 구축, 오전 출근 시 왕숙지구~강변역까지 약 30분 단축 가능
□ 남양주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도로교통 개선부분은,
ㅇ 한강변 도로망의 교통수요 분산 등을 위해 한강교량 신설①-A을 추진하며, 이와 연계하여 올림픽대로(강일IC~선동IC, 암사IC ~ 강동IC)를 확장①-B③-1하고 강일IC 우회도로를 신설③-2한다.
ㅇ 또한, 상습정체구간인 북부간선도로(중랑IC~구리IC)⑨와 경춘북로(퇴계원 시가지)⑧ 및 구국도46호선(왕숙2~금곡동)을 확장⑦하여 남양주~서울방면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였다.
ㅇ 또한, 주변 지구와의 이동성 제고를 위해 지방도383호선② 및 진관교(왕숙~퇴계원) 확장④을 추진하는 한편, 왕숙2~양정역세권⑤과 왕숙2~다산지구⑥간 도로를 설치하여 주변 지구간 편리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.
□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시행되면 주요 통행시간이 서울역방면 45→25분, 강남역방면 70→45분으로 단축되고 북부간선도로, 강변북로,
올림픽대로 등 기존 도로의 교통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.


□ 고양창릉지구는 대중교통 확충 부분 중 핵심사업으로 고양~서울 은평 간 도시철도 건설㉮와 GTX-A 창릉역 신설㉯을 추진한다.
ㅇ 또한, 고양시 지역 내 철도 소외지역 간 연계를 위해 대곡~고양시청㉰, 식사~고양시청㉱ 신교통수단 사업을 계획하였다.
* 대곡∼고양시청 신교통수단사업은 기존 교외선 활용 예정
ㅇ 버스 대중교통을 이용해 고양시 인근 도심지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업지 남북에 위치한 중앙로 및 통일로 BRT 연계를 위한 사업지구 내 버스전용차로를 설치㉳ 할 예정이다.
ㅇ 아울러, 출퇴근시간대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의 서울 도심 이동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광역버스 교통체계개선 사업㉶도 반영하였다.
ㅇ 특히, 간선-지선버스 및 버스 - 철도 - PM(개인형이동수단) 등 다양한 이동수단간 환승이 가능하도록 화전역 환승시설㉴을 설치하고 중앙로 BRT(대화~신촌) 정류장과도 연계㉵하여 편리한 환승서비스를 제공한다.
□ 고양창릉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도로교통 개선부분은,
ㅇ 인근 지역의 서울도심 접근성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일산~서오릉로 연결도로① 신설과 서오릉로 확장②을 계획하였다.
ㅇ 또한, 인접한 주요 도로와의 원활한 접속 등 서울방면 주요 교통수요를 분산하고자 중앙로~제2자유로 연결로③를 신설하고
- 도로용량 확보를 위해 수색교 확장(7차로→9차로)④, 강변북로 확장(10차로→12차로)⑤, 덕은2교 교차로 개선⑥, 서울시내 주요도로 교통체계개선⑦(TSM : 신호체계 개선 및 차로조정 등)을 시행할 계획이다.
□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시행되면 주요 통행시간이 서울역방면 40→10분, 여의도방면 50→25분으로 단축되고 주변 도심지인 원흥, 화정, 지축 지구 등 수도권 서북지역의 도로교통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.
□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이후,
ㅇ 주요사업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하고, 이와 병행하여 인허가 절차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.
ㅇ 사업에 장기간 소요되는 철도사업은 국토교통부, 서울시, 경기도 등이 참여하는 관계기관 협의체를 통해 시행방식 등 세부사항을 정하고 `21년 상위계획 반영, 기본계획 착수 등을 거쳐 `24년 착공, `28년 준공(고양선은 `29년 준공)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.
ㅇ 현재 先 발주하여 진행 중인 지방도383호선 확장 등 4개 사업의 설계용역 이외에 나머지 도로분야 개선대책도 ’21년 상반기 중 관련용역을 발주하여 조속히 실시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다.
□ 한편, 3기 신도시는 철도 등 교통시설 개통 전 입주초기 교통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광역버스 운영비용 등을 지원토록 하였으며,
ㅇ 기존 신도시의 경우에도 올해 도입된 ‘광역교통 특별대책지구’를 통해 사업지연에 따른 입주초기 교통불편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.
ㅇ 특히, 올해에는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수원호매실, 화성동탄2 지구를 우선 지정하였으며 광역버스 투입 등 특별대책을 통해 사업지연에 따른 광역교통불편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기 신도시 리모델링 아파트 (0) | 2021.01.24 |
---|---|
3기 신도시, 패스트트랙·교통대책 조기 확정 등으로 신속 공급 (0) | 2021.01.24 |
최근댓글